2010년 2월 16일 화요일

당구에서 스트로크란....

당구장은 시작하기 전에는 따로 당구를 배울 일이 없었습니다. 당구를 집중적으로 적절히 가르쳐 줄 사람이 없었습니다.

 

물론 당구를 배우기 위해 고수나 아카데미를 찾아본 적이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때문에 저는 인터넷을 통해 당구를 배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알게 된 것이 바로 양귀문의 동영상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배운 것은 바로 시스템입니다. "적절히 계산해서 적절한 곳으로 보내기만 하면 된다." 이것이 바로 시스템이었습니다.

 

반복, 반복을 통해 시스템을 익혔습니다. 같이 치는 친구가 시간 겐세이를 한다고 구박해도 꿋꿋하게 실전에 이를 적용했습니다. 하지만 실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당구장을 차린 후

고수들은 예상 외로 시스템을 잘 쓰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물론 그 전에도 알았지만 다만 자신만의 길을 찾는 노하우가 있다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뒤늦게서야 알게 된 것입니다.

 

고수들은 시스템으로 분명히 불가능한 길을 치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적절한 스트로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그 스트로크가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아무리 시스템을 알아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적절한 스트로크....

 

고수들은 나름대로의 방법을 통해 자신만의 스트로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본능적으로 적절한 스트로크를 선택해서 치고 있었습니다. 때문에 하수들에게 설명할 때는 제각각의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설명하는 사람마다 다를 얘기를 하고 하스들은 설명을 들을수록 더 헷갈리는 일이 반복됐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나름의 기준을 갖고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요인은 큐의 스피드, 깊이, 스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피드는 빠르게에서 느리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 깊이는 깊게와 얕게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톱은 강력과 부드러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피드       깊이         스톱

빠르게        깊게           강력하게

느리게        얕게           부드럽게

 

각각은 분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이를 분명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수들로부터 설명을 들을 때 이에 맞추어 듣고자 합니다. 그랬더니 이해가 더욱 쉽게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각각의 특징이 이해되는 대로 설명을 올려 나가겠습니다.

 

우선 다음 포스팅에서는 스톱에 대해 올려보겠습니다.

 

댓글 3개:

  1. 스트로크를 형성하는 것은 무조건 이 세가지(스톱, 깊이, 스피드)입니다. 두께와 회전은 물론 별개입니다.



    때문에 우리가 샷을 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두께, 회전, 스트로크 세가지입니다.



    이를 복합해서 생각해 보면 두께(약 4~8단계), 회전(좌우, 상하, 1, 2, 3팁), 스트로크(2^3) 등입니다. 결국 경우의 수를 따져보면 8*12*3*2^3=2304입니다. ㅋㅋㅋ



    결국 믿어야 하는 것은 감각입니다. 자신감을 가지십시오.

    답글삭제
  2. 위의 표를 보고 정확한 이해가 필요 할듯해서 몇자 남깁니다.
    스피드는 분명 중요 하고 조절이 필요 합니다. 깊이를 조절 한다는것이 정교함이 없기에 잡는 부분에서 언제 잡을 것인지가 중요 합니다.
    수구와 1적구의 거리에 따라 샷의 방법이 다르다 보니 샷을 배우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이론을 배우신 다음에 원하는 각도에 따라 수구가 움직이게 하기 위해 1적구의 거리와 샷이 달라 짐을 이해 하시고 기본위치를 놓고 스트로크에 대한 정의를 내리심이 맞습니다.
    -박프로-

    답글삭제